OpenWrt 포트 포워딩 설정

내부 lan 네트워크 하부 pc(desktop1)에서 패시브모드로 filezilla server를 운영중이라고 가정할때 외부에서 ftp 서버로 접속하려면 라우터에 포트포워딩 설정이 필요한데 그 설정방법을 간단히 설명합니다.

filezilla server 설정

  • filezilla 서버 ftp 제어 포트 설정 : tcp 21
  • filezilla 서버 ftp 데이터전송 포트 설정 : tcp 49389-49589
filezilla server general setting
filezilla server passive mode setting

OpenWrt라우터 설정

아래 설정은 참고로만 보고 실제 설정은 luci로 하세요. luci가 더 빠르고 쉽습니다.

먼저 /etc/config/dhcp를 수정해 filezilla server를 구동하는 pc(desktop1)의 ip를 dhcp에서 고정ip로 변경합니다.

...
config host
        option mac 'ff:ff:ff:ff:ff:ff'
        option name 'desktop1'
        option dns '1'
        option ip '192.168.1.111'
        option leasetime '0'

포트포워딩 설정을 위해 /etc/config/firewall 에서 해당포트를 개방합니다.

  • ftp 컨트롤 포트인 21번 포트는 잘 알려진 포트로 공격의 대상이 되므로 2211포트로 대체하였습니다.
  • ftp 클라이언트는 외부에서 2211포트(ftp 제어 포트)로 라우터에 접근하게 되며 라우터는 destination NAT에 따라 목적지를 lan의 192.168.1.111:21번 포트로 변경해 ftp 서버와 통신을 하게 됩니다.
  • ftp 서버는 ftp-data포트로 지정된 포트(49389-48589)를 클라이언트에게 알려주게되며 이후 지정된 포트로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 집니다. 이때도 DNAT에 의해 목적지가 192.168.1.111로 변경됩니다.
...
config redirect
        option name 'ftp'
        option src 'wan'
        option src_dport '2211'
        option proto 'tcp'
        option dest 'lan'
        option dest_ip '192.168.1.111'
        option dest_port '21'
        option target 'DNAT'

config redirect
        option name 'ftp-data'
        option src 'wan'
        option src_dport '49389-49589'
        option proto 'tcp'
        option dest 'lan'
        option dest_ip '192.168.1.111'
        option dest_port '49389-49589'
        option target 'DNAT'

서비스 재시작

/etc/init.d/dnsmasq restst
/etc/init.d/firewall restart

Comments

No comments yet. Why don’t you start the discussion?

답글 남기기

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. 필수 필드는 *로 표시됩니다

69  −  65  =